게쉬탈트(Gestalt)이론
1. 요소의 부분합으로 부터는 나올 수 없는 통일된 형태, 패턴 또는 분야의 특징적인 부분.
2. 형태조직은 시각적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관계를 표현한다. 시각영역이 뚜렷한 부분과 관련 부분으로 구성되어 환경을 인지하도록 구조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개념에서 발전
● 게쉬탈트라는 말은 형태나 모양을 의미하는 독일어 명사에서 유래
● 영상 인식의 게쉬탈트 이론은 독일의 심리학자 막스베르트 하이머(Max Wertheimer)가 1910년 여름 기차 여행을 하는 동안 영감을 얻어서 주장하게 됨
● 그는 기차의 불투명한 벽과 창문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자신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데도 바깥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음. 그는 눈이 단순하게 모든 영상 자극을 받아들이고 뇌는 이러한 감각을 일관된 이미지로 정리한 것으로 결론 내림.
● 게쉬탈트 심리학자들은 베르트하이머에 의한 최초 연구를 더욱 심화 시켜서 영상 인식은 감각적 요소와 형태를 다양한 그룹으로 조직한 결과라고 결론지음.
<네 가지 분류 법칙>
① 유사성의 법칙(the law of similarity)
● 사람은 집중하기 위해서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선택함.
● 이 법칙이 정사각형, 원, 삼각형 등 가장 기본적인 모양의 중요성을 강조함.
● 이것은 뇌가 가능한 한 단순한 자극 형태를 유지해서 뇌가 즉시 인식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가 간단한 의미를 전달하기를 원함.
② 근접성의 법칙(the law of proximity)
● 두뇌는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물체보다는 서로 근접해 있는 물체들을 밀접하게 연관시킨다는 내용.
● 손을 잡고 가까이서 있는 두 친구는 20야드 떨어져 서 있는 세 번째 사람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③ 연속성의 법칙(the law of comtinuance)
● 뇌는 선의 갑작스럽거나 급격한 움직임의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
● 다른 말로하면 뇌는 가능한 한 선의 부드러운 연속을 추구.
● 이 선은 그림의 일반적인 선이거나 서너 개의 물체가 모여서 선을 형성
● 연속적인 선에 속한 것으로 보이는 물체는 그 선의 일부가 아닌 다른 물체와는 정신적으로 분리.
④ 공동 운명의 법칙(the law of commom fate)
● 보는 사람은 같은 방향의 하늘을 지향하는 다섯 개의 화살이나 모아진 다섯 개의 손가락이 모두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므로 정신적으로 같이 분류.
● 근접성의 요인
사용자들이 형태를 지각할때 가까운 것끼리 묶어서 지각하려는 원리.
버튼도 경우에 따라서 쓰임새가 틀리다. 그 쓰임새에 따라서 버튼을 그룹핑시켜주는 것이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수 있음
● 근접성의 요인에 해당하는 예
① 로그버튼과 그 외 관련된 입력필드, 회원정보와 관련된 기능 등을 묶어 놓는것
② 회사소개, 사용약관, 개인정보보호약관, FAQ등
③ 메인메뉴의 메뉴들을 일관성있는 디자인으로 묶는것
④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경우 동일한 위치에 '구매하기','상품보기', '장바구니에 담기', 등의 기능적인 버튼을 같은 위치에 놓아 사용자의 편의 도모
⑤ 게시판의 쓰기, 삭제, 목록 버튼
유사성의 요인
● 사용자들이 형태를 시각적으로 집단화하려는 경향.
● 많은 양의 데이터는 비슷한 내용으로 분리하여 작업하는 것이 효율적.
●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가 비슷한 명암과 크기이면 혼란이 가중되므로 명암과 크기등을 감안하여 작업해야 함.
● 다음은 웹 페이지에서 유사성의 요인에 해당하는 간단한 예.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의 위치변화에 따른 그룹핑효과
● 컬러를 구분하는 것으로 요즘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각메뉴의 색을 달리해서 페이지를 구분해 주는 것이다.
연속성의 요인
● 사용자들은 유사한 배열을 하나의 묶음으로 지각한다는 원리.
● 여기서도 메뉴의 경우가 적용될수 있다. 같은 내용들로 묶여진 메뉴들과 서브메뉴들이
● 각 메인페이지에 적용되면서 유사한 통일성을 같게 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각각의 페이지들이 통일성을 갖고 연속적인 페이지가 될 수 있다.
● 게쉬탈트의 법칙 중 응집력의 법칙에 속하는 것들로 자극의 강함에 따른 상대적 가치에 주목하며,
● 물체가 오브제로서 동일화되는 근본적 단위형성에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다음은 웹페이지에서 볼수있는 연속성의 요인에 해당하는 간단한 예이다.
● 1. 시간적 정황: Depth로 들어가도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배려하는것
● 2. 게시판 리스트 목록의 페이지 구분: 예) ◀ 이전 12345 다음▶
폐쇄성의 요인
-------------------------------------------------------------------------
닫힌 것을 하나의 형태로 보며 시각적 그룹핑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애매한 부분의 내용들을 형이나 선으로 묶어줌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인식된다.
폐쇄된 형의 요인은 그대상이 유사하거나 유사하지 않더라도 시각계의 대상을 이루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것은 게쉬탈트 법칙에서 폐합의 법칙에 속하는 것으로서 폐합은 불완전한 도형으로 인식되어지는 것 안에서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강한 작용을 하고 있다.
형과 배경
-------------------------------------------------------------------------
물체와 모양으로 보여지는 부분을 형 또는 그림으로 보고, 그외 배경부분을 바탕으로 보려는 것이다.
이것은 게쉬탈트 법칙에서 분리력의 법칙에 속하는 것으로서 대상이 일정한 환경을 가지고 긴밀하게
짜여 있고충실한 내용을 나타내며 비교적 강한 인상을 줄 때 이를 형태 또는 도형이라한다. 이에 비해 짜여져 있지 않고 공허하며 비교적 약한 인상을 줄때 이것을 배경이라한다.
이는 어떤 대상의 윤관선에 의해 자극으로 화면이 두영역으로 나뉘어져 ,
두영역의 형은 동시에 관찰되어질 수 없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사이트를 제작할 때 컨셉이 들어가는 서브화면에서 내용들을 약하게 작업하게 되면 배경과 분리되지 못하고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하겠다. 작업시 배경을 약하게 한다던가 오브젝트를 부각기켜 작업해야 사용자들의 인지를 도울수 있다.
< 게쉬탈트 심리학의 도형과 배경간의 관계 >
- 도형은 통합된 형태를 가지나 배경은 그렇지 못하다.
- 관찰자의 시각은 최초의 도형에 집중된다.
- 도형은 떠오르고 배경은 가라앉는다.
- 도형은 물체 또는 대상물로서의 특성을 가진다.
- 배경은 물질 또는 무정형한 특성을 가진다.
- 도형은 전방(볼록면)에, 배경은 후방(오목면)에 있기 쉽다.
- 도형은 작은 쪽이며, 배경은 큰쪽이되기 쉽다.
- 둘러싸여 있는 영역, 둘러싸고 있는 영역은 배경이 되기 쉽다.
- 일정한 영역 가운데 동질성인 것보다 이질성인 것이 도형이 되기 쉽다.
- 도형은 인상이 강하고 기억하기 쉽고 의미적이다.
- 대칭이 비대칭보다 도형이 되기 쉽다.
- 규칙적인 경향성과 강한 자극을 주는 쪽이 도형의 조건이 된다.
- 하부가 상부보다 도형의 조건으로 유리하다.
- 광면은 볼록면으로 튀어나와 도형이 되고,
그늘은 오목면 안으로 가라 앉아 배경이 되기 쉽다.
'정보기술의 샘터........о♡ > 마케팅·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아의식 (0) | 2010.01.07 |
---|---|
저희 물건 사지 마세요~디마케팅(demarketing) (0) | 2009.12.28 |
경동보일러 "아버님 댁에 보일러 놔드려야겠어요" (0) | 2009.12.15 |
감성마케팅 (0) | 2009.12.15 |
소비자 공감 일으킨 ‘슈퍼 싸이킹 Ⅱ 침구펀치’편 (0) | 200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