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대 키워드는? 'COW Fighting!'
자유기업원(원장 김정호)이 기축년(己丑年) 소의 해를 맞아 'COW Fighting'이라는 문장으로 10대 키워드를 제시했다. 10대 키워드에는 "위기, 기회, 최악, 금융위기, 혁신, 녹색(녹색성장), 희망, 전환, 아이디어, 마이너스 성장" 등이 포함됐다.
◆Crisis(위기)= 올해 화두로 등장할 단어 1순위. 각 기업과 기관 등 조직 및 개인 간에도 위기라는 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Opportunity(기회)= 위기와 기회는 실과 바늘처럼 붙어 다니는 단어. 한국 경제는 위기에 강했고, 위기 때마다 새롭게 성장하고,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는 기회로 삼았다. 1970년대 오일쇼크 때에는 산업구조를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은 바 있다.
◆Worst(최악)=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져 올 한해 동안 지속적으로 최저치를 갱신할 가능성이 있다. 사상 최악, 사상 최저, 100년래 최악 등의 단어가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Financial crisis(금융위기)= 2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하게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뉴욕대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2009년 역시 힘든 한 해가 될 것이며, 금융위기가 아직 최악의 국면을 지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루비니 교수는 올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주식시장은 앞으로 15~20% 가량 더 덜어질 것이며, 기업들의 실적과 거시지표에 따라 더 악화될 수도 있다고 했다.
◆Innovation(혁신)= 공공부문 개혁, 규제 개혁, 교육개혁, 노사개혁 등 2009년에는 혁신, 개혁, 쇄신, 구조조정 등의 용어들이 연중 화두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혁신과 구조조정은 공공 부문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끊임없이 이뤄질 전망이다.
◆Green(녹색)=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8월 15일 건국 60주년 행사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강조했다. 1월에는 ‘녹색뉴딜’과 ‘녹색기술산업’ 정책을 내놓는 정책기조를 녹색경제, 녹색성장, 녹색뉴딜, 녹색기술에 무게를 두고 있다.
◆Hope(희망)= 지난해 현대경제연구원이 국내 183개 금융, 제조, 건설, 정보통신(IT), 서비스업 기업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올해 한국경제는 상반기 바닥을 치고 ‘U’자형으로 점차 회복할 것이란 의견에 절반 이상인 52.3%에 달했다.
◆Transformation(패러다임)= 퀀텀펀드 창업자인 짐 로저스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달러화 시대의 종료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 역시 "미국은 이번 위기를 넘기겠지만,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달라질 것이다"고 말해, 세계 경제질서가 재편될 것임을 시사했다.
◆Idea(새로운 아이디어)= 행정안전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이고도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생생경제, 국민아이디어 공모'를 추진하고 있다. 위기 극복에 있어 경제전문가들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생활 구석구석에서 나올 수 있는 참신하고 작은 아이디어 또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Negative Growth(마이너스 성장)= 2008년 미국발 금융위가 전 세계적인 유동성 부족 현상을 불러오면서 2009년 실물경제 침체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09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각각 2.2%와 -0.4%로 전망했다. 특히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1~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Crisis(위기)= 올해 화두로 등장할 단어 1순위. 각 기업과 기관 등 조직 및 개인 간에도 위기라는 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Opportunity(기회)= 위기와 기회는 실과 바늘처럼 붙어 다니는 단어. 한국 경제는 위기에 강했고, 위기 때마다 새롭게 성장하고,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는 기회로 삼았다. 1970년대 오일쇼크 때에는 산업구조를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은 바 있다.
◆Worst(최악)=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져 올 한해 동안 지속적으로 최저치를 갱신할 가능성이 있다. 사상 최악, 사상 최저, 100년래 최악 등의 단어가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Financial crisis(금융위기)= 2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하게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뉴욕대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2009년 역시 힘든 한 해가 될 것이며, 금융위기가 아직 최악의 국면을 지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루비니 교수는 올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주식시장은 앞으로 15~20% 가량 더 덜어질 것이며, 기업들의 실적과 거시지표에 따라 더 악화될 수도 있다고 했다.
◆Innovation(혁신)= 공공부문 개혁, 규제 개혁, 교육개혁, 노사개혁 등 2009년에는 혁신, 개혁, 쇄신, 구조조정 등의 용어들이 연중 화두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혁신과 구조조정은 공공 부문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끊임없이 이뤄질 전망이다.
◆Green(녹색)=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8월 15일 건국 60주년 행사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강조했다. 1월에는 ‘녹색뉴딜’과 ‘녹색기술산업’ 정책을 내놓는 정책기조를 녹색경제, 녹색성장, 녹색뉴딜, 녹색기술에 무게를 두고 있다.
◆Hope(희망)= 지난해 현대경제연구원이 국내 183개 금융, 제조, 건설, 정보통신(IT), 서비스업 기업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올해 한국경제는 상반기 바닥을 치고 ‘U’자형으로 점차 회복할 것이란 의견에 절반 이상인 52.3%에 달했다.
◆Transformation(패러다임)= 퀀텀펀드 창업자인 짐 로저스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달러화 시대의 종료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 역시 "미국은 이번 위기를 넘기겠지만,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달라질 것이다"고 말해, 세계 경제질서가 재편될 것임을 시사했다.
◆Idea(새로운 아이디어)= 행정안전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이고도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생생경제, 국민아이디어 공모'를 추진하고 있다. 위기 극복에 있어 경제전문가들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생활 구석구석에서 나올 수 있는 참신하고 작은 아이디어 또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Negative Growth(마이너스 성장)= 2008년 미국발 금융위가 전 세계적인 유동성 부족 현상을 불러오면서 2009년 실물경제 침체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09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각각 2.2%와 -0.4%로 전망했다. 특히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1~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나의 샘터.......о♡ > 달의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렌타인데이 (0) | 2009.02.15 |
---|---|
어느 노부부의 처절한 인생 (0) | 2009.02.11 |
2009년 10대 키워드 예측: COW FIGHTING! (0) | 2009.01.24 |
내가 버려야 할 것들 (0) | 2009.01.15 |
안양 봉가진 한식집 방문 후기 (0) | 200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