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술의 샘터........о♡/통계학·사회조사분석사

리커트척도 구성절차

리커트 척도

 

총화평정척도(summated rating scale)라고도 하며, 주로 인간의 태도를 측정하는 태도척도이다.  질문자료로부터 지표를 추출하여 구성하는 체계적이고 세련된 수준의 척도법으로 여러 척도법 가운데 가장 실용성이 높고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 척도법은 여러 개의 항목으로 응답자의 반응을 측정하고 해당 항목에 대한 측정치를 합산하여 평가 대상자의 최종점수를 얻어내는 척도로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에 관련된 여러 개의 항목 각각에 대하여 척도점을 기준으로 찬반을 평가하도록 해서, 각 항목별로 합산한 뒤 항목수로 평균하여 측정치를 얻어내게 된다. 

 

(1) 특징

리커트 척도는 측정에 동원된 모든 항목들에 대해 동일한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개별 항목들의 답을 합산하여 측정치가 만들어지고, 그것으로 측정 대상들에 대한 서열을 매기게 된다.  리커트 척도는 단순 합계에 의한 합산법(summated rating) 척도의 대표적인 방법이며, 서베이 조사 등의 자료수집 방법들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척도이기도 하다.

 

(2) 척도의 구성절차

① 응답자와 질문 문항의 선정

어떤 쟁점 또는 대상에 대하여 긍정/부정, 호의적/비호의적, 찬/반의 방향이 뚜렷한 문항(진술, 문항,문장 등)을 다수 만든다. 이때 각 문항은 거의 동일한 중요도를 가진 태도로 표시되어야 한다.  진술 문항을 수집할 때는 조사대상자들의 현재의 태도를 표시해야 하는데 두 가지 이상의 뜻이 있는 모호한 것은 안 되며,  극소수에만 해당하는 문구는 의미가 없게 된다. 또한 태도가 정반대인 사람이 같은 반응을 할 수 있는 애매한 문구나 모호한 개념은 제외해야 한다.

② 각 문항에 대한 응답지들의 서열화

각 문항은 3∼10개 정도의 척도항목 구분이 있어야 된다.  2개 응답 선택지(예/아니오) (찬성/반대), 3개 응답 선택지(찬성/모르겠다/반대), 5개(매우찬성/찬성/모르겠다/반대/매우반대) 혹은 7개 그 이상의 응답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문항에 응답 카테고리를 부여하면 결국 모든 문항이 척도가 되고, 전체의 문항에 대한 총평점을 태도의 측정치로 본다.

③ 응답 카테고리에 대한 배점

표본으로 뽑힌 사람들은 각 문항에 대해 응답을 하고 이 응답점수를 개인별로 합하여 총점을 계산한다. 각 응답자의 총점은 각 문항의 평점을 모두 합해서 얻는다.  예를 들어 1-5의 평점을 가진 20개 문항이라면 최저 20점, 최고 100점이 된다

④ 총점 순위에 의한 응답자들의 배열

 각 응답자가 전체 문항에 대해 얻은 점수를 합계한 후, 전체 응답자들을 총점순위에 의해 배열한다. 예를 들어 질문 문항이 10개이고 응답평균이 5부터 1인 경우 최고 50점에서 최저 10점  사이에서 전체 응답자들을 배열할 수 있다.

⑤ 척도문항의 분석

리커트 방법의 가장 핵심이 되는 문항분석을 해야 한다.  즉, 각 항목들 중에서 개인별 총점과 각 항목점수간의 상관계수가 높은 문항을 선택한다.

 

(3) 장 점

① 리커트 척도는 매우 경제적이다.  서스톤 척도와 비교해 볼 때, 동일한 신뢰도를 얻기 위해 50개의 문항이 필요하다면, 리커트 척도에서는 일반적으로 20∼25개 항목이면 충분하다.

② 지표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단순하다.  하나의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구성된 여러 개의 지표들을 동일한 응답 카테고리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일관성이 있다. 

③ 서스톤 척도나 어의차척도와는 달리 응답 카테고리가 명백하게 서열화되어 있으므로 응답자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다.

④ 등간적 점수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쉽사리 활용될 수 있다.

⑤ 평가자들의 주관을 배제할 수 있으며 서스톤 방법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4) 단 점

① 각 개인들이 가지는 응답의 준거틀에 따르는 문제가 있는데, 똑같은 정도의 생각을 어떤 사람은 보통으로, 어떤 사람은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등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② 개별 문항들의 단순 합산점을 근거로 개인별 차이를 나타낼 때, 각기 다른 개별 문항들을 통해 동일한 합산점을 받은 사람들이 동일한 성격의 사람인지를 말하기가 쉽지 않다.

③ 응답자의 척도 문항에 대한 응답유형을 정규분포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것이 지켜질 수는 없는 사항이다.

 

출처 : http://blog.naver.com/air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