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술의 샘터........о♡/마케팅·경영전략

컬트 마케팅(Cult Marketing)

컬트 마케팅(Cult Marketing)
 
컬트(Cult)란 어떤 인물, 이념, 사물에 귀의하고 헌신을 바치는 집단 또는 운동이다. 고객의 구매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세가지 소비행태가 있다. 합리적 소비, 비합리적 소비, 몰합리적 소비이다. 이 가운데 비합리적 소비와 몰합리적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포화된 시장에서는 라이프스타일쇼핑이 단순한 기계적 구매행위가 아니라 미적 요소와 종교적 요소를 갖기 때문이다. 특히 컬트 소비자는 몰합리적 소비 형태를 보이고 있다.
숭배가 시작되면 소비는 종교나 사이비 종교적인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인식은 시장 접근에서나 시장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몰합리적 소비 고객은 첫째, 측량 가능한 기준들로 제품을 비교하지 않고 유사 종교적 기준들을 적용한다. 둘째, 갈망의 소비, 즉 소비세계 외에는 다른 어떤 세계도 인정하지 않는 제품 친화적인 내재적 초월성이 존재한다. 셋째, 원하는 것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던 그들의 잠재수요가 드러나면 아무리 포화된 시장에서도 소비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컬트 브랜드란 고객이 집단으로 헌신을 바치는 브랜드이다.
 
컬트마케팅의 성공조건
 
1) 다르지만 익숙한 것에 관심을 보인다.
 
   희소성의 가치를 높여준다.
2) 공동의 목표가 있어야 한다.
   성공한 컬트브랜드들은 대부분 분명한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
 
3) 상징적 심벌이 있어야 한다.
   컬트는 다른 것과의 구분을 명확히 하고 동일 집단끼리 잘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징화가 필요하다.
 
4) 비회원은 거부되어야 한다.
   컬트는 일반적인 것과의 차별화를 원하는 동시에 같은 컬트집단 내에서는 철저한 동일성을 추구하는 모순 속에 있다. 집단 내에서 동일시되고 싶은 이들의 욕구는 집단 바깥의 것에 대한 배척으로까지 표출되기도 한다.
5) 컬트는 힘있는 고객이어야 한다.
   브랜드의 인기는 종교와 달리 영원불멸한 것이 아니다. 특히 고객이 열성적인 사랑을 보낸다는 것은 해당 브랜드에 대해 그만큼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추종하는 팬이 생긴 이후에도 고객의 요구를 계속해서 맞춰 주어야 한다.
 
출처 : 마케팅 전략백과(김훈철,장영렬,이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