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硏이 전망한 ‘아이폰 vs 삼성폰’ 승자는?
애플의 아이폰 열풍에 국내 휴대폰 제조사가 바짝 긴장한 가운데 삼성경제연구소가 삼성폰으로 대표되는 국내업체와 아이폰 간 ‘전쟁’의 승자를 전망해 눈길을 끈다. 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SERI 전망 2010’의 산업편에서다. 이 책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전망을 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결론을 명확하게 가르진 않았다. 그러나 행간을 살피면 승자는 국내업체로 읽힌다.
몇 가지 근거를 댔다. 우선 아이폰이 도입돼 업체간 가격 및 품질 경쟁이 치열해지겠지만 국내 기업의 경쟁력 우위 덕택에 내수시장 지배력이 유지될 걸로 봤다.
국내업체는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부문에선 밀렸지만,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피쳐폰(일반폰)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게 이유다. 정식 스마트폰은 아니지만, 유사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것. 멀티미디어폰의 경쟁력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풍부함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속도, 디스플레이 선명도, 터치스크린 기능 등 하드웨어적 성능등에서 나온다고 했다. 아이폰의 최대 강점인 다양한 소프트웨어 활용도보단 삼성폰 등의 성능에 점수를 더 준 셈이다. 대표적인 예로 삼성의 아몰레드폰을 들었다.
집필을 맡은 이성호 수석연구원은 “아이폰이 스마트폰으로 성공했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대세는 피쳐폰”이라며 “소비자 입장에선 스마트폰인지 아닌지 여부를 떠나 스마트폰 이상의 성능을 내는 피쳐폰을 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단순 예상 판매량 수치만봐도 국내업체의 지배력이 흔들리진 않을 것으로 봤다. 이 수석연구원은 “아이폰 판매목표가 50만대라며 연간 1000만대 이상 나가는 국내 시장 규모에 비하면 비중이 미미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선 삼성 LG 등이 아이폰의 등장 후 폭발적인 인기에 화들짝 놀라고 있지만, 결국 국내 소비자들에게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켜 중장기적으로는 덕을 볼 것으로 점치고 있다.
연구소는 또 아이폰의 폐쇄형 운영체계에 맞선 구글(안드로이드), 마이크로소프트(윈도우모바일) 등 개방형 운영체계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도 국내폰에 점수를 줬다.
이 수석연구원은 “아이폰 마니아라는 니치마켓이 있었고, 워낙 큰 폭의 보조금까지 곁들여져 아이폰이 인기”라며 “지난 몇일간 성적으로 승패를 가르는 건 이르다”고 말했다.
'정보기술의 샘터........о♡ > 마케팅·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 차 못보던 건데"…신차는 드라마에 먼저 데뷔한다 (0) | 2009.12.03 |
---|---|
한국영화 강점은 스토리텔링 美 수출엔 액션ㆍ호러가 유리" (0) | 2009.12.03 |
상품을 팔 때에 오감 마케팅을 적용 (0) | 2009.12.03 |
Stick (0) | 2009.12.02 |
지식의 저주 (0) | 200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