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술의 샘터........о♡/마케팅·경영전략

공익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

공익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

    "사회적인 이슈를 찾아내라"

 

공익마케팅에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것이다. 둘째로, 특정 자선단체와 제휴해 기부하는 방법이다. 자선 단체의 공익적 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적극 활용하는 방법이다. 세번째 방법은 스스로 공익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자선 단체가 부각되고 기업이 뒷전에 밀릴 수 있는 두번째 방법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훨씬 많은 홍보마케팅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공익마케팅은 상호 이익을 위해서 기업이나 브랜드를 사회적 명분이나 이슈에 전략적으로 연계시키는 포지셔닝과 마케팅 도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익마케팅은 크게 사회 마케팅(Social Marketing), 사회지향적 마케팅(Societal Marketing), 윤리마케팅(Ethical Market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마케팅은 소비자 생활의 질 향상, 빈곤 감소, 에너지 절약, 고통난 해소, 인간자본 개발, 가족계획, 낙태, 금연, 마약사용 금지, 오염 방지와 환경 개선, 이웃사랑 운동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다루고 있다.

사회지향적 마케팅도 이와 비슷한데, 기업이 소비자 운동단체나 정부의 압력에 대응하여 사회 이슈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기업의 이미지를 높여 간접적으로 매출을 올리거나 아니면 직접적으로 매출을 올리는 데 사회적인 이슈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지향적 마케팅의 한 종류로 윤리 마케팅이 있다. 이는 기업이 법적 기준과 사회적 통념에 맞는 윤리기준에 따라 마케팅 활동을 수행해서 최종 고객과 관련 이해 당사자들을 만족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마케팅이다. 즉 기업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사회와 공존하는 시민의식을 갖고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 공익적 가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일반적 우리가 공익마케팅이라고 할때는 기업이 주체가 되는 사회지향적 마케팅을 말한다.

 

공익마케팅의 3가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강력한 브랜드 자산 구축 효과

기업은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공익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2) 내부 구성원들의 사기 진작

3) 기업과 공익단체가 윈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