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술의 샘터........о♡/News·용어·시사

용어정리

GIS
GIS는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줄임말로 지리공간 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가공해 지형 관련(도로·교통·전신 전화·가스·상하수도·수자원·산림자원·지질 토양 등)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지리정보 시스템을 말한다.

Arc
GIS의 구성요소로서 어느 위치에서 시작하여 다른 위치에서 끝나는 X, Y 좌표값들이 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길이만 갖고 면적은 갖지 않는다. 라인 지형요소, 면적 지형요소의 경계 또는 이 두 가지를 다 표현한다. 하나의 라인 지형요소는 많은 아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는 끝점과 면적의 양쪽면과 위상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Band(밴드)
일반적으로 원격탐사에서는 항공기나 위성에 탑재된 센서가 다중의 분광 파장대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는데 각 채널에 의해 감지되는 파장대를 밴드라고 한다. 예를 들어 Landsat의 TM 7개 채널을 이용하여 가시파장대, 근적외, 열적외 파장 영역의 범위를 감지하는데 이 경우 영상은 7개 밴드의 스펙트럼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DEM
Digital Elevation Model 의 약어로서, DEM은 지형의 위치에 대한 고도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수치정보입니다. DEM을 구분해보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수 있으나,가장 일반적인 것은 Point Model의 높이 행렬로 표현하는 것으로 미국와 영국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GIS에 사용하는 형식이다. 이는 Data Redundancy존재, 복잡한 지형의 표현에 불리, 선형 지도로의 변환시 보간작업 등의 단점이 있지만, 쉽게 광범위한 지형의 자료를 얻을수 있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일반화되었습니다. 미국 지질 조사국이 만든 이 자료는 지형정보를 제공하는 격자형의 고도자료 파일입니다. 이 지형정보는 경사방향, 경사도, 3차원 투시도 등의 지형특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GIS분야에서 다른자료형태와 결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DTM
Digital Terrain Model의 약어로서 적당한 밀도로 분포하는 지점들의 위치 및 표고의 수치값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그 수치값을 이용하여 지형을 수치적으로 금사하게 표현하는 모형이다. 지혀의 기복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DXF
Drawing eXchange Format의 약어로 CAD 자료의 교환을 위한 외부 포맷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가 GIS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되는 수치지도 제작의 자료형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DXF는 아스키 형식과 바이너리 형식 두 가지로 저장 가능하며, 아스키 방식으로 저장되는 경우 그룹코드와 해당 값들의 리스트 구조 때문에 많은 저장용량을 차지한다. DXF는 위상구조나 속성자료 관리 등에 있어 한계를 갖고 있어 GIS 데이터로 활용되기에는 제약점이 많다.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 국가 GIS의 공통 데이터 교환 포맷은 SDTS(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이다.

IMT2000 /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은 ITU 산하 ITU-T 스터디 그룹 11에서 제안한 표준 기술이 채택된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위성을 이용한 통신서비스의 결정체를 말한다.

현재의 이동통신이 국가(혹은 지역)간 무선접속 규격의 차이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IMT2000에서는 세계 어디에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2Mbps의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기반으로 음성전화나 무선호출뿐 아니라 동영상, 화상회의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현재 2Mbps 이상의 속도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곳은 별로 없는 상황이므로 IMT2000이 상용화될 2002년부터는 손바닥만한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유선을 이용하는 것 보다 더 빠르고 부드럽게 인터넷을 접하게 될지 모른다.

Photogrammetry
정확한 정보 수집 특히 지도 생성을 위한 항공사진 모델링

UTM
UTM(Universi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 은 투영법에 의하여 표현되는 좌표계로 지구를 회전원체로 보고 평면적으로 투영함으로서 좌표값을 얻는다. 그러나 80도 이상은 왜곡의 정도가 심하므로 남북위 80도까지만 포함시킨다. 이 기법은 지구전체를 경도 6도씩 60개 구역으로 나누고, 그 각 종대의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정을 원점으로 하여 원통도법인 횡 Mercato TM 투영법으로 등각투영한다. 각 종대는 180도W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6도간격으로 1부터 60까지 번호를 붙인다. 종대에서 위도는 남북에 8도 간격으로 20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한다. 본래 UTM좌표는 1950년대 군사적인 목적으로 지도를 제작하면서 고안된 좌표이지만 오늘날에는 지형도제작, 토지측량, 천연자원탐사, 고속도로건설등 다양한 용도에서 이 좌표를 사용하고 있다.

VAN
Value Added Network의 약어로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통신회선을 소유 또는 임차하여 구성한 조직망에 컴퓨터와 장비통신 등의 설비를 설치하여 단순한 전송기능 이상으로 정보의 형식 및 내용에 부가가치를 첨가하여 음성 또는 자료정보를 제공하는 광범위하고도 복합적인 통신서비스의 집합을 말한다.

디지타이저
벡터그래픽 데이터를 평면좌표(x,y)로 암호화 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화시키는 기기. 좌표인식장치.도화된 사상의 공간좌표를 지도나 문서로부터 컴퓨터로 입력시키는 기기.종이지도를 GIS나 CAD 패키지로 옮겨오는데 사용되는 장치. 종이지도를 테이블에 부착하고 커서를 이용하여 지도를 그린다.

래스터
래스터형 데이터는 GIS의 대표적인 자료구조로 2차원 표면을 작은 메쉬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분할된 모든 메쉬에 대해 2개값 또는 여러 값의 데이터를 갖게 된다. 래스터형 데이터는 메쉬데이타라고도 하는데, 장점으로는 현상적 자료구조 표현에 용이하고,자료구조가 축약적이며, 그래픽 정확도가 높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지향적이며, 탁월한 지도작성 능력등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자료구조나 지도의 중첩이 복잡하며, 각 단위가 다른 위상 형태를 갖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벡터
GIS 데이터 구조. GIS 데이터 구조는 크게 벡터구조와 래스터 구조로 구별된다. 벡터구조는 공간요소를 점, 선, 면 객체로 정의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공간 대상을 각 객체의 기하구조로 표현한다. 각 객체는 크기와 방향성을 가지며 각 객체 별로 데이터가 관리되며 그 위치는 x, y 좌표 값의 연속으로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CAD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초기 데이터 생성이 어려우나 유지 관리 및 갱신이 손쉽다. 이에 반해 래스터 구조는 디지털 이미지와 유사한 방식의 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즉 스캔닝된 이미지나 위성사진 등과 같이 대상을 셀 단위로 분할하여 각 셀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손쉽게 얻을 수 있으나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갱신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원격탐사
원격탐사의 개념은 어떤 시각에서 접근하는냐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은 항공기나 인공위성에 탑재된 리모트센서를 이용하여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파(자외선, 금적외선, 열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등)를 측정, 기록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여 대상물, 현상 및 환경등에 관한 정보를 얻는 기술로 정의한다.

일반도
일반도는 "기준도"라고 하는 다른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연대상물과 인공물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도는 대상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대상물들의 변천과정과 그것들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일반도에 나타나는 대상물에는 해안선, 호수, 강, 운하, 행정경계, 길, 주택등이 있다.

주제도
주제도는 하나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제작된 지도로서, 과학자들이 사회학적 그리고 과학적 자료의 속성을 표현하고자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국제 지도제작협회에서는 "특정한 형상이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제작된 지도"라고 주제도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모든 주제도의 목적은 시간, 방향관계, 위치형태, 방위의 변화등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특별한 지리적 분포를 표현하고자 함에 있다. 여기에는 물리저기나 문화적 현상또는 그러한 현상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들이 포함된다. 모든 주제도는 정성적인 부류와 정량적인 부류와 같이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정성적인 주제도는 어떠한 자료의 공간적 분포나 위치를 나타내며 광물의 분포토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반면에 정량적인 주제도는 공간상에 위치하는 자료들의 수직적 개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구타원체
영어로는 Ellipsoid. 지구를 표현하는 수학적 방법으로서 타원체의 장축 또는 단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얻어낸 지구 모형이다. 이는 좌표를 표현하는데 있어 기준 모델로 사용된다. 각국에서는 사용하는 타원체는 그 나라의 실정에 따라 다양하며, 현재 범세계적으로 통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타원체는 WGS84이다. 우리나라에서는 Bessel 타원체를 사용하고 있다.

지오이드(Geoid)
대양에서는 평균해수면과 일치하고, 대륙에서는 가상 해수면에 의해 연장되어 형성된 지구형상 모델로, 모든 지점은 중력방향에 수직이다. 즉 지구 타원체에서 지구중력이 동일한 면을 지오이드라 하는데 이는 해발고도가 0m인 기준면, 즉 평균해수면을 나타낸다.형상은 불규칙하지만 편평한 타원체로 근사화 할 수 있다.

축척
축척이란 지도나 사진상에서의 길이와 지상에서의 실제길이 비를 말한다. 축척의 값은 무차원수로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고, 이는 지도상에서나 지상에서나 같은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음을 나타낸다. 축척이 1:25,000이라고 할때 이 축척은 지도상의 단위길이가 지상에서는 그 값의 25,000배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지도상의 1cm는 지상에서 25000cm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축척은 수평방향의 길이에 대해 표시하는 것이며 면적이나 높이에 대한 축적은 아니라는 것이다.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텍스쳐 매핑이란 사실감있는 입체 화상을 제작하기 위해 이미지와 같은 2차원 무늬를 점, 선, 면으로 구성된 3차원 오브젝트 표면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간단히 2차원 무늬를 3차원 물체 표면에 적용시키는 과정 및 방법을 일컫는 용어로써 슬라이드 처럼 물체에 비추는 방식과 3차원 물체 표면을 한 겹 입히는 방법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물체의 형태와 재질에 따라 다양한 매핑기법이 존재합니다. 3차원 GIS에서는 3차원 지형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이때, 실제 지형을 촬영한 위성영상 표면 사진이나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이 이미지를 지형 또는 물체 표면에 이 기법을 사용해 실제 지형에 가깝도록 입혀서 화면에 출력하게 됩니다.

투영(Projetion)
3차원의 지구 전체 또는 일부를 2차원의 평면(원통, 원추, 원반 등)에 비추어 2차원의 지도로 변환하는 과정을 투영이라고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지도나 2D GIS의 수치지도는 이러한 투영을 과정을 거친 뒤 만들어진 것이다. 투영의 과정에서는 모양, 거리, 방향, 축척 및 면적의 왜곡이 발생하기 마련이므로 원하는 대상지역의 왜곡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투영법을 선택하여햐 한다. 우리나라 지형도의 경우는 TM(Transverse Mercator) 투영법을 사용하고 있다. TM 투영은 중앙자오선(예: 동경 127도선)에 원통을 접하도록 한뒤 투영하는 방식으로 중앙 자오선에 위치한 지역은 정확하게 투영되므로 남북 방향이 긴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중앙 자오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거리, 면적, 축척, 방향 등의 왜곡이 커진다.

해상도
사전적으로 해상도란 "대상에 있어 개개의 부분에 대한 판별"이라는 말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지리정보시스템에 있어서는 더욱 특정한 정의를 필요로 한다. 토플러는 지리적 공간데이터의 해상도라고 하는 것은 "공간의 차원에서 기준화된 기하학적 영역의 크기를 관측대상수로 나눈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에서 영력이라고 하는 것은 지도나 사진과 같은 2차원의 데이터의 경우, 관측대상에 포함된 지구이다. 따라서 2차원의 경우 수치를 기준화하기 위해서 그 제곱근을 취한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남한면적 약 10만 평방km 중에 10개의 특별시,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시,도를 표현하는 지도의 평균해상 단위는 다음과 같다.
평균해상단위 =(제곱근) 면적/관측대상수
=(제곱근) 100,000평방킬로미터/10
=약 317킬로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