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에는 앞의 FDISK와 마찬가지로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파티션 작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이용할 프로그램은 윈도우 XP 의 설치 CD와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관리의
디스크 관리를 통한 파티션 작업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FDISK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모든 강좌의 기본 시나리오는 동일합니다.)
시나리오
HDD1(8GB) ─ PRI 100% (Volume Label : OS NTFS) : 윈도우 XP 설치
HDD2(10GB) ┬ PRI 4GB (FAT32)
└ PRI 6GB (FAT32)
HDD3(20GB) ┬ PRI 50% (FAT32)
└ EXT ┬ LOG 25% (FAT32)
└ LOG 25% (NTFS)
HDD2(10GB) ┬ PRI 4GB (FAT32)
└ PRI 6GB (FAT32)
HDD3(20GB) ┬ PRI 50% (FAT32)
└ EXT ┬ LOG 25% (FAT32)
└ LOG 25% (NTFS)
HDD2 HDD3 의 모든 파티션 삭제
파티션의 생성
우선 윈도우 설치 CD로 부팅을 합니다.
여차저차 여저차 넘어가시면 파티션 생성 메뉴까지 다다르게 됩니다.
![]() |
윈도우 설치 CD 의 파티션을 나누는 툴 입니다. 파티션을 나눌 분할되지 않은 공간에서 C 를 누르시면 됩니다.
HDD1의 파티션을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HDD1에서 C 를 눌러 줍니다.
![]() |
HDD1은 전체를 하나로 잡기로 했습니다. 입력된 값 그대로 엔터를 눌러줍니다.
![]() |
자 이렇게 파티션이 생성된 모습입니다. 분할되지 않은 공간 8MB는 윈도우가 혹시나 이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로 변환하여
사용할 때를 대비하여 남겨놓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적 디스크는 쓸 일이 없으므로 이 8MB는 쓰지도 못하고
낭비되는 공간이죠. 윈도우의 설치 CD로 파티션을 나누면 반드시 이 8MB는 남습니다.
이 8MB를 남기지 않고 모든 공간을 파티션으로 잡으려면 다른 툴을 쓰거나 윈도우를 설치 후 나눠줘야 합니다.
이 작업은 윈도우 설치 CD로 파티션을 나누면 반드시 이 8MB가 남는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함입니다. ^^
또한 윈도우 설치 CD로 파티션 작업을 하게 되면 첫 번째 파티션은 주 파티션으로 잡히고 두 번째 부터는
무조건 확장 파티션의 논리 드라이브로 잡히게 됩니다.
그러니 기본적으로 윈도우 설치에 필요한 파티션을 제외한 나머지 파티션 작업은 윈도우 설치 후
컴퓨터 관리의 디스크 관리에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설치에 필요한 파티션은 잡았으므로 이 파티션을 포맷하고 윈도우 설치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나눠놓은 파티션에서 엔터를 눌러줍니다.
![]() |
그러면 이렇게 어떤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할 지 물어봅니다.
HDD1은 NTFS로 포맷하기로 하였으므로 NTFS 빠른 포맷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빠른 포맷과 일반 포맷의 차이점은 FDISK에서 설명드렸습니다.
![]() |
파티션을 포맷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빠른 포맷이므로 금방 지나갑니다.
![]() |
윈도우 설치를 시작한 모습입니다.
이 후의 과정은 생략하고 윈도우 설치 완료 후 바로 파티션 작업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실행 -> compmgmt.msc 를 실행합니다. 아니면 제어판 -> 관리 도구 -> 컴퓨터 관리로 들어갑니다.
![]() |
컴퓨터 관리의 디스크 관리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HDD1은 설치 CD로 작업을 해 놨으니 파티션이 잡혀 있고
나머지 HDD2와 HDD3는 아직 할당되지 않은 모습입니다.
![]() |
먼저 이렇게 CD-ROM에 할당된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합니다. 이는 HDD 와 CD-ROM 간의 드라이브 문자가 뒤죽박죽이
되는걸 막기 위함입니다. 모든 HDD의 파티션 작업을 마친 후 마지막 문자를 CD-ROM으로 할당해 줘야 안 헷갈립니다. ^^;
드라이브의 문자 할당 변경 및 제거는 이미 올려드린 강좌에서 자세히 설명드렸습니다.
드라이브 관리의 새로운 방법 - 마운트 바로가기
![]() |
이제 HDD2에 파티션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DD2 (디스크 1) 의 할당되지 않은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새 파티션으로 들어갑니다.
![]() |
파티션 만들기 마법사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다음.
![]() |
주 파티션을 만들 것이므로 주 파티션을 선택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 |
4GB 를 만들 것 이므로 4096을 적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해 줍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 |
포맷 여부를 결정합니다. 시나리오대로 FAT32로 포맷하겠습니다.
빠른 포맷을 지원하니 꼭 빠른 포맷 실행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 |
이제 마침을 누르면 파티션 생성과 포맷이 완료됩니다.
![]() |
파티션이 제대로 생성이 된 모습입니다. 쉽죠?
![]() |
마찬가지로 HDD2 의 남은 공간도 주 파티션으로 생성해 줍니다.
![]() |
HDD3의 50%도 주 파티션으로 생성해 줍니다.
한 가지 윈도우의 경우 FDISK 때와는 달리 % 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무조건 MB 값을 입력해줘야 합니다.
20GB의 50%는 10GB 니까 10 x 1024 = 10240MB 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 |
이제 HDD3의 남은 공간에 새 파티션 만들기를 선택하시고 이 번엔 확장 파티션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 |
남은 모든 공간을 확장 파티션으로 만들어 줍니다. 입력된 값 그대로 다음을 클릭합니다.
![]() |
확장 파티션은 포맷이나 드라이브 문자 할당 메뉴가 없습니다. 이유는 1부에서 설명 드렸죠 ^^ 마침
![]() |
이렇게 확장 파티션이 생성된 모습입니다. 확장 파티션은 주 파티션과는 색이 다르니 금방 구분이 가능합니다.
![]() |
이제 이렇게 생성된 확장 파티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논리 드라이브를 만들어 줍니다.
![]() |
확장 파티션에서는 논리 드라이브 밖에 만들지 못 합니다.(당연 ^^;) 다음을 클릭합니다.
![]() |
논리 드라이브로 할당할 용량을 적어줍니다.
윈도우는 % 값을 지원하지 않기에 FDISK 때와는 다르게 손수 계산하셔서 이렇게 MB 값으로 적어주셔야 합니다.
![]() |
주 파티션 때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브 문자도 할당해 주고
![]() |
포맷 형식도 지정해 주시고
![]() |
마침을 누르면 논리 드라이브의 생성이 완료 됩니다.
![]() |
생성된 논리 드라이브의 모습입니다.
![]() |
마찬가지로 남은 공간도 논리 드라이브로 생성해 줍니다.
![]() |
이제 모든 파티션 작업을 끝냈으니 CD-ROM 드라이브의 문자도 다시 할당해 줍니다.
![]() |
내 컴퓨터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HDD1 (C:) 의 경우 볼륨 라벨을 OS 로 해주기로 했는데 깜빡 했네요.
![]() |
이렇게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이름 바꾸기를 해 줍니다.
![]() |
볼륨 라벨을 OS 로 바꾼 모습입니다. (간단하죠?)
이로써 윈도우 XP의 기본 기능을 이용한 파티션 생성에 대해서 모두 배워봤습니다. 상당히 쉽습니다. ^^
윈도우 XP 기본 기능을 이용한 파티션 생성 동영상을 끝으로 파티션의 생성에 관한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파티션의 삭제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티션의 삭제
![]() |
다시 디스크 관리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윈도우에서 파티션의 삭제는 아주 쉽습니다.
그저 삭제할 파티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한 후 파티션 삭제만 누르면 됩니다.
![]() |
그러면 이렇게 모든 데이터가 사라진다는 경고창 한 번 띄워주고 예를 클릭하면
![]() |
파티션이 삭제된 모습입니다. 쉽죠?
![]() |
마찬가지로 HDD2 의 남은 파티션도 삭제해 주고
![]() |
논리 드라이브도 이런식으로 삭제를 해줍니다. 모든 논리 드라이브를 삭제하면 확장 파티션의 삭제도 가능해 집니다.
마찬가지로 남은 논리 드라이브와 확장 파티션 주 파티션까지 삭제를 해 줍니다.
![]() |
'정보기술의 샘터........о♡ > 컴퓨터팁·다운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XP 정품인증 (0) | 2008.06.01 |
---|---|
각종 사운드 메인보드 VGA 운영체제 CD/RW 드라이버 다운로드 (0) | 2008.05.02 |
[스크랩] 동영상 속 원하는 영상을 이미지로! (0) | 2008.04.02 |
160GB 이상의 하드디스크 인식시키는 방법 (0) | 2008.03.04 |
휴대폰으로 녹음한 음성 컴퓨터 파일로 전환하는 법 (0) | 2008.02.07 |